「고조선사연구총서」 제2권 『고조선사 연구 100년』. 우리나라가 세운 최초의 국가지만, 명확히 이해하기란 쉽지 않은 고조선사에 대한 100년간의 국내ㆍ외 연구를 분석하여 정리한 것이다. 고조선사 연구의 현황과 쟁점을 돌아본다. 뒷부분에는 고조선사 연구에 대한 목록을 국가별로 정리하여 소개하고 있다.

 


목차


책을 펴내며

 

고조선사의 쟁점과 역사 현장·서영수

Ⅰ. 머리말
Ⅱ. 고조선사 연구의 현황~남북한학계의 연구를 중심으로~
Ⅲ. 고조선사 연구의 쟁점
Ⅳ. 고조선의 역사 현장
Ⅴ. 맺음말
후주

 

단군 인식의 변천·서영대
Ⅰ. 머리말
Ⅱ. 고조선 시조신으로서의 단군
Ⅲ. 자연신으로서의 단군
Ⅳ. 국가 시조로서의 단군
Ⅴ. 민족의 시조로서의 단군
Ⅵ. 맺음말
후주

 

고조선의 강역과 중심지·박선미
Ⅰ. 연구의 흐름과 추이
Ⅱ. 고려·조선시대의 인식
Ⅲ. 근대사학 성립 이후의 연구
1. 대동강 중심설
2. 요동 중심설
3. 중심지 이동설
Ⅳ. 앞으로의 전망
후주

 

한국 근현대 기자조선 인식의 변천·박준형
Ⅰ. 머리말
Ⅱ. 일제 시기의 기자조선 인식
Ⅲ. 해방 이후의 기자조선 인식
Ⅳ. 맺음말
후주

 

북한학계의 고조선 연구 성과와 과제·하문식
Ⅰ. 머리말
Ⅱ. 단군릉 발굴 이전
Ⅲ. 단군릉 발굴 이후
Ⅳ. 단군릉 발굴 이후 몇몇 연구 성과들
Ⅴ. 맺음말
후주

 

일본에서의'고조선사' 연구·운용구
Ⅰ. 머리말
Ⅱ. 시기별 연구동향
1. 1890~1941년대
2. 1950~1980년대
3. 1990~2000년대
Ⅲ. 주제별 연구동향
1. 고조선의 청동기문화
2. '고대동아시아세계론'과 고조선
3. 낙랑군과 중국군현
Ⅳ. 맺음말 : 쟁점과 과제
후주

 

중국'고조선사'인식의 어제와 오늘·박경철
Ⅰ. 서언
Ⅱ. 중국 '고조선'인식의 형성
Ⅲ. '동북공정'이전(1900~1990년) '고조선'인식의 전개
Ⅳ. '동북공정'을 전후한 (1991~현재)'고조선'사 인식
Ⅴ. '동북공정'을 전후한 '고조선사' 인식의 문제점
Ⅵ. 결어
후주

 

러시아와 미국의 고조선사 인식·강인욱
Ⅰ. 서론 : 연구의 범위와 문제의식
Ⅱ. 러시아의 고조선 인식
Ⅲ. 배형일의 연구로 본 미국의 고조선사 인식
Ⅳ. 결론
후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