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시대개관과 유적 유물


一. 시대개관
1. 구석기 시대
2. 중석기 시대
3. 신석기 시대
4. 청동기 시대
5. 초기철기 시대
6. 역사시대


二. 유적
1. 유적(遺蹟) 과 규구(遺構)
2. 유물

 


Ⅱ.유적과 유물


一. 집자리(住居址)


二.무덤(墳墓)


三. 선돌(立石)


四. 유물
1. 석기와 골각기
2. 토기
3. 청동기
4. 철기

 


Ⅲ. 고분문화


一. 선사시대 고분과 부장품
1. 신석기 시대
2. 청동기 시대
3. 초기철기시대


二. 삼국시대고분과 부장품
1. 고구려 시대
2. 백제시대
3. 신라시대
4. 가야시대


三. 고분출토 유물
1. 꾸미개
2. 무기류
3. 말갖춤
4. 금속용기
5. 유리제품
6. 토기

 


Ⅳ. 불교문화


一. 가람
1. 가람(伽藍)의 의의와 배치형식
2. 가람의 시대적 변천

 
二. 불상
1. 불상의 의의 및 종류
2. 불상의 형식
3. 한국불상의 양식


三. 탑파
1. 탑파의 의의
2. 탑파의 종류
3. 탑파의 시대적 변천


四. 부도(浮圖)
1. 부도의 의의
2. 부도의 발생
3. 부도의 형식
4. 부도의 시대적 변천


五. 석등
1. 석등의 기원
2. 석등의 형식과 변화


六. 범종(梵鐘)
1. 범종의 기원과 한국법종의 특징
2. 범종의 시대적 변천


七. 당간지주(幢竿支柱)
1. 당간지주의 의의와 기원
2. 당간지주의 형식
3. 당간지주의 양식변천


八. 불화(佛畵)
1. 불화의 종류
2. 불화의 내용

 


Ⅴ. 그릇


一. 토기
1. 토기의 의의
2. 토기의 성형(成形)방법
3. 토기의 재료
4. 토기의 소성(燒成)방법과 명칭
5. 토기의 시대적 변천

二. 도자기
1. 고려시대 도자기
2. 조선시대 도자기

 


Ⅵ. 와전(瓦塼)


一. 기와(瓦)
1. 기와의 정의
2. 기와의 종류
3. 기와의 무늬
4. 기와 양식의 변천


二. 전돌(塼)

 


Ⅶ. 성곽(城郭)


一. 성곽의 개념과 기원
1. 성곽의 정의
2. 성곽의 기원

 

二. 성곽의 종류와 분류
1. 축성 재료에 의한 분류
2. 목적에 의한 분류
3. 거주 주체에 의한 분류
4. 지형에 의한 분류
5. 기능에 의한 분류


三. 성광의 축조방법
1. 토겅의 축조방법
2. 석성의 축조방법
3. 토석혼축성(土石混築城)의 축조방법


四. 성곽의 구성요소
1. 성문
2. 성벽
3. 성내시설

 


Ⅷ. 고건축


一. 택지(擇地)-풍수지리사상
1. 수구(水口)
2. 야세(野勢)
3. 산
4. 흙(土色)
5. 수리(水理)
6. 조산조수(朝山朝水)
7. 용어
8. 명당의 예


二. 고건축의 양식
1. 주심포(柱心包)양식
2. 다심포(多心包)양식
3. 익공계(翼工系)양식
4. 절충(折衝)양식
5. 하앙포(下昻包)양식
6. 소로수장(小累修粧), 장혀수장(長舌修粧)민도리집


三. 고건축의 구성부재 및 요소
1. 기단(基壇)
2. 초석(礎石)
3. 기둥(柱)
4. 보(樑)
5. 도리(道里)
6. 대공(臺工)
7. 소슬합장
8. 가구(架構)형식
9. 처마
10. 지붕
11. 기와
12. 벽체
13. 창호(窓戶)
14. 바닥(床)
15. 천장
16. 단청(丹靑)
17. 대문


四. 고건축의 종류
1. 궁전
2. 성문
3. 묘단(墓壇)
4. 객사(客舍) 및 관아(官衙)
5. 사찰
6. 학교
7. 누정(縷亭)
8. 주택
9. 재실(齋室)건축

 


Ⅸ. 석비(石碑)와 금석문


一. 석비
1. 석비의 의의와 종류
2. 석비의 유래
3. 비의 구조
4. 비의 양식적 변천


二. 금석문(金石文)
1. 금석문의 의의
2. 금석문의 시대 정리

 


Ⅹ. 역사기록


一. 전적(典籍: 書冊-印本)
1. 구분
2. 서책체제 파악형식
3. 접시표 종이 등으로 본 구분


二. 고기록-필사본
1. 향약(鄕約: 鄕案)
2. 일기
3. 읍지(邑誌)
4. 추수기(秋收記)


三. 고문서
1. 교지류(敎旨類)
2. 호족류(戶籍類)
3. 소지쥬(所志類)
4. 토지문기(土地文記)
5. 분재기(分財記)
6. 통문(通文)
7. 완의(完議)
8. 간찰(簡札: 書狀)
9. 기타


四. 고지도
1. 지도제작의 필요성 및 종류
2. 지도의 시기구분
3. 세계지리의 인식의 확대와 지도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