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고학과 한국상고사의 제문제』은 고고학의 패러다임을 인류학의 틀 속에서 논의하고 있다. 고고학은 역사학의 한 분파라고 할 수 있으나, 고고학이 인류학으로부터 이론을 차용하지 않는다면 철학을 지닌 학문의 한 분야로 성립될 수 없다. 따라서 저자는 이론을 배제한 고고학자는 학자이기보다 오히려 유물을 뒤지는 단순한 기술자에 불과하다고 말하고 있다. 

 

저자소개

저자 최정필
최정필은 경주태생으로 고려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피츠버그대학교 대학원 인류학과에서 고고학 전공으로 석사와 박사학위를 취득 하였다. 그리고 미국 펜실베니아주 G.A.I. 고고지질연구소 연구원, 피츠버그대학교 인류학과(C.R.M.P) 연구교수로 재직하다 귀국 하였다. 그동안 세종대학교 역사학과 교수, 세종대학교 인문대학장, 박물관장, 대학원장을 역임하고 다시 박물관장을 맡고 있다.
한국고대학회와 한국선사고고학회 부회장, 한국박물관학회 회장으로 봉사 하였고, 현재는 국제박물관위원회(ICOM) 한국위원장과 국립중앙박물관 운영자문위원, 유네스코 한국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목차

 

제Ⅰ장 선사문화의 접근 17
          1. 선사시대 17 
          2. 고고학과 선사학 20 
          3. 고고학과 역사학 23 
          4. 고고학과 인류학 25
               1) 체질인류학 27 
               2) 문화인류학 28 
          5. 고고학의 학문적 목표 31 
               1) 문화사의 복원 32 
               2) 과거사회의 생활양식 설명 34 
               3) 문화의 변천과정 설명 36 
          6. 고고학과 문화 38

 

제Ⅱ장 고고학의 발달 43 
          1. 19세기 이전 43 
          2. 19세기 53 
          3. 20세기 초반 73 
          4. 1960~2000년 82 
               1) 신고고학과 후기과정주의 82 
               2) 후기과정주의 89 
               3) 젠더 고고학과 경관고고학 96

 

제Ⅲ장 신석기 연구의 현황과 과제 101 
          1. 머리말 101 
          2. 연구사적 검토 104 
          3. 쟁점 및 검토 114 
               1) 토기의 전파와 편년문제 115 
               2) 농경의 제문제 121 
               3) 주민구성문제 132 
          4. 과제 및 전망 135

 

제Ⅳ장 인류학상으로 본 한민족 기원연구의 재검토 141 
          1. 머리말 141 
          2. 형질인류학과 한민족의 기원 145 
               1) 인종과 형태학적 분류의 문제점 146 
                     (1) 피부색 148 
                     (2) 두개골의 형태 151 
                     (3) 눈꺼풀의 형태 154 
          3. 한민족의 기원과 종족명칭 문제 160 
               1) 古아시아족 161 
               2) 퉁구스족 166 
          4. 고고학과 한민족의 기원 172 
               1) 신석기시대와 고아시아족 설 174 
               2) 청동기시대와 주민교체 설 180 
          5. 맺음말 184

 

제Ⅴ장 농경도구를 통해 본 한국 선사농경의 기원 189 
          1. 머리말 189 
          2. 한반도 원시농경문화의 전개 192 
          3. 도작의 발생과 농경도구 200 
          4. 반월형 석도 206 
               1) 장방형석도 208 
               2) 즐형석도 210 
               3) 어형석도 212 
               4) 주형석도 214 
               5) 삼각형석도 217 
          5. 맺음말 218

 

제Ⅵ장 신진화론과 한국상고사 해설의 비판에 대한 재검토 223 
          1. 머리말 223 
          2. 문화진화론의 역사적 배경 227 
          3. 신진화론과 문화단계의 분류문제 230 
          4. 족장사회(Chiefdom) 248 
               1) 문화단계로서의 족장사회 249 
               2) 족장사회의 식별과 적용문제 253 
               3) 족장사회의 연구현황 261 
          5. 맺음말 268

 

제Ⅶ장 한국 상고사와 족장사회 271 
          1. 머리말 271 
          2. 족장사회의 성향과 최근 연구경향 274 
          3. 족장사회와 지석묘 287 
          4. 맺음말 304

 

부록
제Ⅷ장 DEVELOPMENT OF SUBSISTENCE PATTERNS IN
NEOLITHIC CULTURE IN KOREA 309
Introduction 309
Ⅰ. The Bissalmuneui Period 311
Ⅱ. Perspectives on Hunter-Gatherer Subsistence and Small-Scale Cultivation 314
Ⅲ. Post-Pleistocene Environment and Social Conditions on the Korean Peninsula 317
Ⅳ. Subsistence and Settlement in the Early Bissalmuneui Subperiod 326
Ⅴ. Subsistence in the Middle Bissalmuneui Period 338
Discussion and Conclusions 3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