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은 학제 간 연구에 관심을 기울여 인류학과 여타 사회과학에서 논의되고 있는 이론을 폭넓게 소개하고 있다.고고학자의 저술임에도 불구하고,민족 정체성과 관련된 인류학의 최신 이론들을 비중있게 다루고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이 점에서 이 책은 고고학 연구자들뿐만 아니라 인문.사회과학 전반의 독자들에게도 매력적이다. 

 

 

저자소개


<지은이>


시안 존스Siân Jones는 영국의 맨 섬에서 태어나 자랐다. 사우샘프턴 대학교 고고학과를 졸업한 후, 1994년 같은 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맨체스터 대학교 고고학과 교수이다. 사회인류학을 비롯한 인접 학문과의 학제 간 연구에 관심이 많으며, 민족지 고고학, 문화정체성과 민족성, 고고학과 현대 정체성의 생산 등을 주로 연구하고 있다. 주요 저술로는 Early Medieval Sculpture and the Production of Meaning, Value and Place, Historic Scotland, Cultures of Ambivalence and Contempt: Studies in Jewish-non-Jewish Relations와 같은 단행본과, “Nationalism, archaeology and th interpretation of ethnicity in Ancient Palestine", "Nations, cultures and types: dismantling archaeological discourses of the Orcadian Neolithic and beyond" 등의 논문이 있다.


<옮긴이>


이준정은 서울대학교 고고미술사학과를 졸업하고, 미국의 위스콘신 대학교 인류학과에서 고고학 전공으로 석사 및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서울대학교 고고미술사학과 교수이다. 과거의 생태경제 양상에 대해 주로 연구하고 있다. 주요 저서 및 논문으로 <선사 농경 연구의 새로운 동향>(공저), <패총의 고고학>(공역), 「수렵․채집 경제에서 농경으로의 전이 과정에 대한 이론적 고찰」, 「패총 유적의 기능에 대한 고찰: 생계․주거 체계 연구를 위한 방법론적 모색」, 「동물 자료를 통한 유적 성격의 연구: 동삼동 패총의 예」, 「경산 임당 유적 고총군 피장자 집단의 성격 연구: 출토 인골의 미토콘드리아 DNA 분석을 중심으로」 등이 있다.


한건수는 서울대학교 인류학과를 졸업하고, 미국의 버클리 대학교 인류학과에서 석사 및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강원대학교 문화인류학과 교수이다. 민족정체성, 아프리카 지역연구, 국제이주와 다문화사회에 대해 주로 연구하고 있다. 주요 저서 및 논문으로 <종족과 민족: 그 단일과 보편의 신화를 넘어서>(공저), <다문화사회의 이해>(공저), “Community of memory: history, kinship and ritual in the construction of Yoruba social identity”, 「나이지리아에서의 언어 사용과 종족정체성」, 「경합하는 역사: 사회적 기억과 차이의 정치학」, 「농촌지역 결혼이민자 여성의 가족생활과 갈등 및 적응」 등이 있다.

 


목차


서문
주요 개념

 

1장 서론


2장 민족과 문화에 대한 고고학적 식별
   문화역사
   사회고고학과 민족성: 양면적인 관계
   로마화의 사례


3장 차이의 분류학: 인문과학에서 인간 집단의 분류
   19세기 사상에 있어 인종, 문화 그리고 언어
   인종에서 문화로: 20세기 초․중반의 차이에 대한 개념화
   일차적 분류 범주로서 민족성의 출현


4장 민족성: 개념적․이론적 영역
   민족성의 개념화
   원초적 요구
   도구적 민족성
   통합된 이론적 접근은 가능한가?


5장 다차원적 민족성: 맥락적 분석틀을 향하여
   민족성의 실무적 정의
   민족성의 실천이론을 향하여
   민족성의 차별적 위치
   ‘순수했던 것들이 엉망이 되어 가는가?’ 민족성의 역사적 모델


6장 민족성과 물질문화: 고고학의 민족성 해석을 위 한 이론적 모색
   고고학적 문화를 민족적 실체로 보는 시각의 문제
   양식과 기능의 이분화: 신고고학과 민족성의 개념 화
   양식적 소통과 민족성
   물질문화, 인간 행위주체성, 사회구조
   민족성과 물질문화


7장 결론: 과거와 현재의 정체성 만들기
   민족성에 대한 비교 이론
   로마화에 대한 재평가
   고고학과 정체성의 정치학


참고 문헌
역자 후기
색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