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미술사 연구』를 읽는 것은 미술사학의 한 분야에서 일가를 이룬 대가의 현재적 관심이 어디에 쏠려 있는가, 수십 년간 한국 미술사학계에 몸담으며 이곳의 생태를 관찰해온 사람이 느끼는 문제점, 자연스럽게 가지게 된 문제의식은 무엇인가를 엿볼 수 있는 소중한 기회이다. 이 책의 담백한 제목은 저자 안휘준이 한국 미술사를 ‘여전히’ 연구하고 있으며, 한국 미술사에는 ‘여전히’ 연구할 거리들이 많다는 사실을 담담하게 이야기하고 있다.

 

 

저자 안휘준은 현(現)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고고미술사학과 명예교수. 서울대학교 고고인류학과(문학사), 미국 하버드대학교 미술사학과(문학석사, 철학박사) 졸업. 서울대학교 고고미술사학과 교수, 서울대학교 박물관장 역임. 우현상, 동원학술대상, 보관문화훈장, 대한민국문화유산상, 옥조근정훈장, 세종문화상 등 수여. 주요 저서로 『한국회화사』(일지사, 1980), 『한국 회화사 연구』(시공사, 2000), 『한국미술의 역사』(시공사, 2003)(공저), 『미술사로 본 한국의 현대미술』(서울대학교출판부, 2008), 『개정신판 안견과 몽유도원도』(사회평론, 2009), 『청출어람의 한국미술』(사회평론, 2010), 『한국 그림의 전통』(사회평론, 2012) 등 다수가 있음.

 

 

 

목차

 

『한국 미술사 연구』를 내며 4

I 총론: 한국미술의 특징과 변천

1. 명작들을 통해 본 한국의 전통미술 19

1) 머리말 19
2) 회화 22
가. 고구려의 고분벽화 / 나. 고려의 불교회화 / 다. 조선의 산수화: 안견과 정선 / 라. 조선의 초상화 /
마. 조선의 풍속화 / 바. 조선의 동물화 / 사. 조선의 궁중장식화
3) 불교조각 50
4) 금속공예 59
5) 도토공예와 도자기 70
6) 목칠공예 82
7) 석탑 85
8) 맺음말 92

2. 한국 미술문화의 특성 (1) 93
1) 선사시대 미술의 특성 95
가. 신석기시대 / 나. 청동기시대
2) 삼국시대 미술의 특성 102
가. 고구려 / 나. 백제 / 다. 신라
3) 통일신라시대 미술의 특성 113
4) 고려시대 미술의 특성 117
5) 조선시대 미술의 특성 126
6) 맺음말 132

3. 한국 미술문화의 특성 (2) 135
1) 한국미술 특징의 정의 135
2) 한국미론의 검토 136
3) 한국미술의 시대별 특성 144
가. 삼국시대 / 나. 남북조시대 / 다. 고려시대 / 라. 조선시대
4) 맺음말 149

4. 한국 미술사상(美術史上) 중국미술의 의의 151
1) 머리말 151
2) 한국 미술사상 중국미술의 의미 152
3) 한국 미술사상 중국미술 수용의 제 양상 155
4) 청출어람의 경지 창출 162
가. 고구려 / 나. 백제 / 다. 신라 및 가야 / 라. 통일신라와 발해 / 마. 고려 / 바. 조선
5) 맺음말 180

II 고구려ㆍ백제ㆍ통일신라의 미술


1. 고구려 미술문화의 특성과 위상 ― 고분벽화를 중심으로 185

1) 머리말 185
2) 고구려 고분벽화의 역사·문화적 성격 187
가. 기록성과 사료성 / 나. 종교사상성 / 다. 과학기술성 / 라. 국제성
3) 고구려 고분벽화의 미적 특성 215
가. 역동성 / 나. 멋과 세련성
4) 맺음말 223

2. 백제의 회화 ― 고분벽화를 중심으로 225
1) 머리말 225
2) 백제 회화 형성의 배경 226
3) 백제의 고분벽화 228
4) 백제의 일반 회화 241
가. 산수화 / 나. 인물화 / 다. 기타
5) 일본에서 활약한 백제계의 화가들 250
6) 맺음말 254

3. 솔거(率居): 그의 신분, 활동연대, 화풍 255
1) 머리말 255
2) 기록상의 솔거 256
가. 『삼국사기』 「열전」 / 나. 기타 기록들
3) 솔거의 국적과 신분 267
4) 솔거의 활동연대 및 대표작 노송도의 제작연대 271
5) 솔거의 화풍 275
6) 솔거의 노송도가 그려진 위치 282
7) 맺음말 284

III 고려 말~조선 초의 고분벽화

1. 송은(松隱) 박익(朴翊, 1332~1398) 묘의 벽화 289

1) 머리말 289
2) 벽화의 내용과 구성 291
3) 인물풍속화 303
가. 동벽과 서벽 / 나. 남벽
4) 묵죽과 묵매 314
5) 맺음말 320

2. 노회신(盧懷愼, 1415~1465) 묘의 벽화 323

Ⅳ 조선왕조의 미술

1. 조선왕조 전반기 미술의 대외교섭 341

1) 머리말 341
2) 조선 전반기 대외 미술 교섭의 기조 342
3) 조선 전반기 대중 외교관계 및 미술 교섭 348
가. 대중 외교관계 / 나. 대중 미술 교섭
4) 조선 전반기 대일 외교관계 및 미술 교섭 364
가. 대일 외교관계 / 나. 대일 미술 교섭
5) 맺음말 380

2. 조선왕조 전반기 화원들의 기여 383
1) 머리말 383
2) 조선 초기 화원들의 기여 387
가. 사의산수화의 격조를 높이고 일파(一派)를 이루다 - 안견 / 나. 금강산도를 그리다 - 배련 / 다. 지도 제작에 기여하다 - 안귀생과 한귀 / 라. 인물화의 위상을 높이다 - 최경과 안귀생 / 마. 문인계회도를 그리다 - 불명(不明)의 화원들 / 바. 범종과 목판화의 제작에 참여하다 - 이장손 외 / 사. 도자기의 문양을 그리다 - 불명(不明)의 화원들 / 아. 화원가문을 이루고 불화도 그리다 - 이상좌
3) 조선 중기 화원들의 기여 415
가. 왕손의 후예로 화원이 되어 신구화풍을 어우르다 - 이징 / 나. 개성적 화풍과 선종화로 국위를 떨치다 - 김명국 / 다. 실경산수화 속에 기록화를 담다 - 한시각 / 라. 인물화의 격을 높이다 - 이명욱 / 마. 특유의 기록화와 의궤도를 남기다 - 다수의 화원들
4) 맺음말 434

3. 겸재(謙齋) 정선(鄭敾, 1676~1759)과 그의 진경산수화, 어떻게 볼 것인가 437
1) 머리말 437
2) 정선의 신분 438
가. 화성설 / 나. 사대부화가설 / 다. 화원설 / 라. 직업화가설
3) 정선 진경산수화의 연원 452
가. 사상적, 양식적 연원 / 나. 시대적 요인
4) 진경시대론 464
5) 맺음말 466

4. 표암(豹菴) 강세황(姜世晃, 1713~1791)과 18세기의 예단(藝壇) 469
1) 강세황과 18세기 예단에서의 위치 469
2) 강세황의 인물화 475
가. 자화상 / 나. 풍속인물화와 산수인물화
3) 강세황의 산수화 483
가. 사의산수화 / 나. 진경산수화
4) 강세황의 사군자화 499

Ⅴ 회화사 자료

1. 규장각(奎章閣) 소장 조선왕조의 회화 511

1) 머리말 511
2) 규장각 소장의 감상화 514
가. 전 공민왕 필 <천산대렵도> / 나. 고화첩의 작품들 / 다. 평양풍경도 / 라. 안동부근회도
3) 규장각 소장의 풍속화 527
가. 경직도 / 나. 조선고평생풍속도
4) 규장각 소장의 기록화 540
가. 의순관영조도 / 나. 기석설연지도 / 다. 참의공사연도 (1) 남지기로회도 (2) 익종대왕입학도 (3) 서연관사연도 / 라. 임진전란도 / 마. 인평대군방전도와 집경전구기도첩
5) 규장각 소장의 인물화 572
가. 선현영정첩 / 나. 진신화상첩 / 다. 진도금견본첩
6) 맺음말 588

2. 호림(湖林)박물관 소장의 회화 603
1) 머리말 603
2) 고려 후기의 <지장시왕도> 604
3) 조선왕조시대의 산수화 606
가. 계회도 / 나. 안견파 화풍의 산수화 / 다. 절파계 화풍의 산수화 / 라. 남종화풍의 산수화
4) 조선왕조시대의 산수인물화 633
5) 조선왕조의 영모화·화조화·초충화 642
6) 조선왕조의 사군자화·묵련화·묵포도화 648
7) 맺음말 653

3. 한국의 옛 지도와 회화 655
1) 머리말 655
2) 지도와 회화의 관계 657
3) 도면식 지도의 회화적 요소 663
4) 회화식 지도와 회화 679
가. 회화식 지도의 성격 / 나. 회화식 지도의 구도 (1) 일반 회화식 지도 (2) 개화식(외반식) 구도 (3) 폐화식(내경식) 구도
5) 맺음말 696

Ⅵ 미술사 연구와 저술

1. 미술사학의 기본 701

1) 미술사란 무엇인가 701
2) 미술과 미술사학의 중요성 704
3) 미술 작품의 사료성(史料性) 707
4) 작품사료의 선정 기준 708
5) 양식(樣式)의 문제 710
6) 미술 작품은 과학문화재 711
7) 미술사, 어떻게 서술할 것인가 712
8) 문헌사료의 중요성 714

2. 김재원(金載元) 박사와 김원용(金元龍) 교수의 미술사 연구 717
1) 머리말 717
2) 김재원 박사의 기여 719
3) 김원용 교수의 기여 726
4) 맺음말 736

3. 미술사 저술의 몇 가지 근본문제 739
1) 머리말 739
2) 표절의 문제 741
3) 개설서 저술의 문제 745
4) 주(註) 달기의 문제 753
5) 맺음말: 후배들을 위한 충언(忠言) 758

도판목록 762
참고문헌 775
찾아보기 7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