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석기시대 도구론

 

SBN : 978-89-6347-345-1 93900

판형185 * 255mm

페이지 : 550페이지

지은이하인수

가격33,000

출간일2017 8 7

관련분야() : 역사

 

 

한국신석기학회 회장을 역임한 하인수 부산 복천박물관장의 논문집 『신석기시대 도구론』이 발간되었습니다. 저자는 2006년 『영남해안의 신석기문화 연구』로 박사학위를 취득한 이래 신석기 문화 전반에 대한 연구에 천착하여, 『한국 신석기문화 개론』, 『한국 신석기 토기와 편년』, 『한국 선사∙골각기』, 『한국 신석기시대 석기론』 과 같은 연구서 편찬 작업에 참여해 왔습니다. 저자의 관심은 신석기 시대 연구의 주류라 할 수 있는 토기연구에서 도구에 대한 연구로 확장되었으며, 이를 통해 신석기 시대 문화 전반에 대한 이해에 도달하는 데 있습니다.

우리나라 신석기 시대를 대표하는 즐문토기에 대해서는 많은 연구 성과가 집적되어 있는데 반해, 석기를 비롯한 도구들은 부가적인 자료로만 취급되는 경향이 있어 왔던 것이 사실입니다. 이번에 발간된 『신석기시대 도구론』은 저자가 2003년 이래 최근까지 작성한 신석기 시대 도구론 관련 논저 16편을 엮은 것으로서 토기에 집중되었던 연구영역을 확장한 성과를 두루 소개하고 있습니다.

『신석기시대 도구론』은 도구를 분류하는 일반적인 기준인 재질에 기반하여, 석기, 골각기와 패제품을 기준으로 분류한 논저 8편을 2개의 부로 구성하였고, 또 다른 기준인 용도에 기반하여 장신구와 의례구 및 생업도구로 분류한 8편의 논저를 2개의 부로 구성하였습니다.

1석기에는 5개의 논저가 소개되었는데, 석기연구사, 신석기 시대 석기 개괄, 석제 가공구, 범방유적의 석기를 통해 신석기 시대 석기 연구의 일반론과 연구사, 사례 연구 등을 소개하고 있습니다. 흑요석 유통을 중심으로 한반도 남해안과 일본 규슈 지방에서 어로활동을 중심으로 한 활동이 신석기 시대부터 이루어진 사례를 소개하고 있기도 합니다.

2골각기와 패제품 3개의 논저로 이루어져 있는데, 신석기 시대 골각기 개괄 및 우리나라 남해안 지역의 골각기 문화를 소개하고 패제품의 종류와 이용에 대해 별도의 논저를 소개하고 있습니다. 저자는 종래 골각기의 일부로 분류되었던 조개껍질을 별도로 분류하여 연구하였습니다.

1,2부가 도구를 만든 재질을 기준으로 한 분류였다면, 3,4부는 도구의 용도를 기준으로 분류하였습니다. 3장신구와 의례구에서는 조개팔찌, 옥기, 토우 등 유물을 중심으로 한 3편의 논저와 즐문토기 시대 전반 및 영남지역을 중심으로 한 의례구와 장신구에 대한 내용을 소개한 2편의 논저로 구성되었습니다.

마지막 4부 생업도구에서는 신석기 시대 생업도구 일반에 대한 개괄을 다룬 논저 1편과 함께 어로작업을 중심으로 한 논저 2편을 소개합니다. 저자의 주된 연구 영역인 어로작업에 대해 보다 상세하고 심화된 내용을 접해 볼 수 있습니다.

『신석기시대 도구론』은 10여 년 간 작성된 단편적인 논저들의 모음으로서 일관된 논조가 아니고, 중복되는 내용이 있을 수도 있지만, 해당 글들이 발표되던 시점의 시의성이 연구사에 있어서 중요한 의미를 가지는 장점을 동시에 가지고 있기도 합니다.

『신석기시대 도구론』에서 제시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해당 영역에 대한 보다 풍성하고 심도 있는 연구가 이루어 지기를 기원합니다.

목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책을 내면서 3

 

1부    석기 11

 

1 석기연구 현황과 과제 12

. 머리말 12

. 연구 흐름과 현황 13

. 전망과 과제 36

. 맺음말 41

2 석기의 종류와 양상 52

. 머리말 52

. 생업활동과 석기 53

. 석기의 종류 56

. 시기별 석기양상과 특징 91

. 맺음말 96

3 석제 가공구 102

. 머리말 102

. 가공구의 종류와 특징 103

. 시기별 양상 142

. 맺음말 147

4 범방유적의 석기 151

Ⅰ. 머리말 151

. 석기의 종류 152

. 외래계 석기 167

. 시기별 석기조성과 특징 171

. 맺음말 174

5 한일문화교류와 흑요석 177

. 머리말 177

. 교류문물의 검토 178

. 교류의 양상과 전개 197

. 흑요석의 교역 200

. 맺음말 208

 

2부    골각기와 패제품 213

 

1 즐문토기문화의 골각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