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학자가 쓴 최초의 중국 청동기와 금문(金文)에 대한 전문 연구서!


I. 고대 중국의 청동기
제1장 중국 고대 청동예악기의 발전
1. 고대 중국에 대한 인식 전환 | 2. 하상주 삼대의 역사 | 3. 중국 청동기의 기원과 얼리터우 | 4. 상대의 정점: 얼리강과 안양, 싼싱두이 | 5. 금문과 서주 청동기의 발전 | 6. 춘추전국시대의 변화 | 7. 소결
제2장 서주 청동예기를 통해 본 중심과 주변, 그 정치 문화적 함의
1. 서주 청동기의 지역별 분류 가능성 | 2. 서주 청동예기의 표준과 그 추이 | 3. 표준의 고수: 제후국 출토 청동예기 | 4. 동화와 미숙한 독자성 추구: 주변세력 | 5. 주식 청동기의 유입, 그 예제에는 무관심: 이방 | 6. 소결

II. 사료로서 청동기 명문
제3장 진후소편종 명문: 서주 후기 왕과 진후의 동방 원정
1. 20세기 말의 놀라운 발견 | 2. 진후소편종 해설 | 3. 진후소편종 명문 | 4. 진후소편종 명문에 나타난 서주 역법 | 5. 진후소편종 명문의 연대 | 6. 진후소편종 명문을 통해 본 서주 후기 주와 진의 관계
제4장 응후시공 청동기: 그 연대와 명문들의 연독 문제
1. 응후 시공 청동기 4점 | 2. 응후시공 청동기들의 명문 | 3. 응후 시공 청동기들의 연대 | 4. 응후시공 청동기 명문들의 연독 문제 | 5. 소결
제5장 인궤 명문: 서주 왕과 제후 사이의 역학 관계
1. 진좡 서주 성터의 발견 | 2. 인궤 명문 | 3. 진좡 성지의 성격 | 4. 제사(齊師)와 서주 후기 왕실의 제후국 군대 운용 | 5. 소결
제6장 융생편종과 진강정: 춘추 초 왕실의 몰락과 진의 역할
1. 융생편종의 발견 | 2. 융생편종과 그 명문 | 3. 진강정 명문과 연대 | 4. 융생편종의 연대 | 5. 춘추 초 진과 번탕 | 6. 소결
제7장 진공전과 진공반: 불완전한 명문의 복원
1. 불명확한 탁본, 새로운 발견 | 2. 진공전과 그 명문 | 3. 진공반과 그 명문의 역주 | 4. 두 기물의 연대와 진공반의 위조 가능성 | 5. 소결

III. 청동기 명문과 중국 고대사
제8장 상주시대 이민과 국가: 동서 융합을 통한 절반의 중국 형성
1. 이주 문제를 둘러싼 쟁점들 | 2. 상주시대 인구 추정 문제 | 3. 고고학 자료에 반영된 상대의 이민과 국가 | 4. 기록으로 나타나는 서주의 이민과 국가 | 5. 소결
제9장 상주 청동기에 나타난 기족(?族)의 이산과 성쇠
1. 기족을 둘러싼 논의들 | 2. 기족 청동기의 출토지와 연대 | 3. 상 후기 왕기와 갑골문의 기 | 4. 서주 초기의 사민과 동북 변경의 기 | 5. 서주 중후기의 성장과 산둥성의 기 | 6. 춘추시대 기족의 쇠퇴와 ?=紀(己)의 문제 | 7. 소결: 기족사(?族史)의 재구성과 한계
제10장 화이관의 전사(前史): 상주시대 자타 의식의 형성
1. 화이관의 이해 | 2. “문화적 표상”으로 商 청동예기의 확산 | 3. 갑골문의 방(方) | 4. 서주 청동예기의 지역적 층차 | 5. 서주 금문의 주방(周邦)과 타방(他邦), 만이융적(蠻夷戎狄) | 6. 소결
제11장 금문에 나타난 서주 군사력 구성과 왕권
1. 서주 왕권의 딜레마 | 2. 기존 서주 군사사 연구의 문제 | 3. 전쟁금문에 나타난 실제 참전자 혹은 세력 | 4. 서주 군사력 구성의 특징 | 5. 소결: 서주 왕권 딜레마의 절충
제12장 “발을 잘라 신발에 맞추기”: 하상주단대공정 서주 기년의 허실
1. 2천년 동안의 학술현안 | 2. 『간본』에 나타난 서주 기년 연구 방법 | 3. 단대공정과 서양 학자들의 연구 비교 | 4. 주요 쟁점들 | 5. 서주 기년 연구의 한계 | 6. 소결